티스토리 뷰
목차
작성일: 2025년 5월 21일
안녕하세요, 미백남입니다.
이번 투자일기에서는 저비용 민간 우주 발사 기업으로 잘 알려진 로켓랩(Rocket Lab, 티커: RKLB)의 향후 발사 일정과 수익화 가능성을 중심으로 주가 반등 시점을 점검해보겠습니다.
🚀 로켓랩, 지금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나?
2025년 상반기까지 로켓랩은 총 43회의 Electron 발사 미션을 수행했으며, 성공률은 약 94%에 이르고 있습니다.
4월 말에는 NASA의 Starling 위성을 탑재한 ‘Beginning of the Swarm’ 미션을 성공적으로 완료했고, 5월~6월 사이 2건의 추가 발사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더불어 Neutron(중형 발사체)은 2025년 하반기 엔진 점화 테스트 이후 2026년 초 첫 발사가 목표이며, 이 일정이 시장 기대의 핵심 촉매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 주요 수주 및 고객 현황
- 미국 우주군(USSF): 감시 위성 발사 계약 갱신
- NASA: 다년간 소형 위성 발사 파트너로 선정
- BlackSky, Capella Space, Kinéis 등 위성 기업과 지속 계약
특히 로켓랩은 단순 발사 서비스뿐 아니라 위성 플랫폼 자체 제작 및 통신 솔루션까지 제공하며 수직 통합 모델로 경쟁사들과 차별화되고 있습니다.
📈 주가 흐름과 기술적 분석
- 최근 3개월간 주가는 $3.00 ~ $4.20 사이에서 박스권 형성
- 50일 이평선과 200일 이평선이 수렴 중 → 추세 전환의 초기 신호
- 5월 예정된 Electron 발사 성공 시 $4.50 돌파 가능성
기술적 지표상 RSI는 47~52 수준으로 과열은 아니지만, 거래량이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예열 구간’으로 해석 가능합니다.
🏦 기관 수급 및 13F 흐름
2025년 1분기 기준 13F 공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기관이 RKLB를 보유 중입니다.
- ARK Invest: 우주 테마 ETF 중심으로 RKLB 비중 확대
- BlackRock: 분산형 기술 성장주 전략의 일부로 편입
- State Street: ETF 구성 요소로 보유 지속
이 외에도 Susquehanna, Citadel 등 옵션 트레이딩 중심의 기관들이 콜옵션을 중심으로 롱 포지션을 일부 보유하고 있는 점도 눈여겨볼 만합니다.
📌 개인 투자자 전략
- ① 발사 일정 연동 전략: Electron 발사 전후로 거래량이 급등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사전 매수, 결과 발표 직후 익절 전략이 유효
- ② Neutron 일정 모니터링: Neutron은 2026년부터 본격 수익화 전망. 장기 포트 5~10% 비중으로 접근 가능
- ③ 실적 발표 주목: 위성 제작 및 통신 매출 확대가 예상되는 분기 실적(7월 예정)에 따라 재평가 가능성 존재
🧠 전문가 코멘트
“로켓랩은 우주 테마주 중에서도 가장 빠르게 실적을 수익으로 연결시키는 기업이다. Electron은 저위성 수요 확대의 수혜, Neutron은 SpaceX의 대항마가 될 수 있다.”
– 엘리 킬릭(모건스탠리 우주산업 애널리스트)
🔗 함께 보면 좋은 글
미백남 투자일기 15화 – 로켓랩 주가 급락 원인과 장기 투자 전략
✅ 요약 포인트① 실적 발표와 Neutron 개발 불확실성이 급락 유발② Electron·방산 수주·Neutron 등 장기 성장 모멘텀 여전③ 지금은 과매도 구간, 분할 매수 및 리스크 관리 병행 전략 필요🚀 1. 로
pianochico-story.com
로켓랩(Rocket Lab, RKLB) 연례 리포트형 기업 분석
by 미백남 투자일기 📌 종합 요약로켓랩(Rocket Lab)은 미국 및 뉴질랜드를 기반으로 한 소형 발사체 및 위성 제작 기업으로, 민간 우주산업 내에서 "스페이스X 다음 후보"로 주목받는 항공우주 기
pianochico-story.com
《미백남 투자일기 24화 – 무디스의 미국 신용등급 강등, 시장은 어떻게 반응했나?》
서론: 14년 만의 충격, 무디스가 움직였다2025년 5월 19일, 월요일 밤. 뉴욕 증시가 열리기 직전, 투자자 커뮤니티에서는 놀라운 소식이 퍼지기 시작했습니다. 국제 신용평가사 무디스(Moody’s)가 미
pianochico-story.com
이상으로 《미백남 투자일기 27화》였습니다. 다음 화에서는 민간 우주 통신 인프라 시장의 확장성과 로켓랩의 추가 사업 모델에 대해 분석해보겠습니다.
'미국 주식 & 연금 투자 > 미백남투자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백남 투자일기 26화 – 테슬라의 에너지 사업, 주가 반등의 숨은 엔진일까?》 (1) | 2025.05.23 |
---|---|
《미백남 투자일기 25화 – 13F 공시에서 포착한 IONQ, ‘세력’들은 왜 이 종목을 주목할까?》 (0) | 2025.05.22 |
《미백남 투자일기 24화 – 무디스의 미국 신용등급 강등, 시장은 어떻게 반응했나?》 (3) | 2025.05.21 |
미백남 투자일기 23화 – 13F 공시로 본 ‘큰손’의 선택, 나는 왜 그 주식을 샀을까? (2) | 2025.05.20 |
《미백남 투자일기 22화 – IONQ, 양자컴퓨터의 진짜 수익화 시점은 언제일까?》 (5) | 2025.05.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