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by 미백남 투자일기

    Rocket Lab의 Electron 발사체가 이륙하는 모습
    ▲ Rocket Lab의 Electron 발사체 이륙 이미지 (출처: Rocket lab 홈페이지)

     

     

    📌 종합 요약

    로켓랩(Rocket Lab)은 미국 및 뉴질랜드를 기반으로 한 소형 발사체 및 위성 제작 기업으로, 민간 우주산업 내에서 "스페이스X 다음 후보"로 주목받는 항공우주 기업입니다.

    2025년 현재, 로켓랩은 소형 위성 발사, 위성 플랫폼 제공, 우주 기반 서비스라는 세 가지 핵심 축을 중심으로 매출을 다변화하고 있으며, 전자 추진 발사체 '일렉트론(Electron)'과 차세대 중형 발사체 '뉴트론(Neutron)' 개발로 기술력과 상업성을 모두 갖춘 기업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 사업 부문 및 매출 구조

    • 발사 서비스: Electron 발사체를 기반으로 NASA, 국방부 등 고객 확보 (매출 비중 약 50%)
    • 우주 시스템: Photon 위성 플랫폼, 위성 부품 공급 (매출 비중 약 35%)
    • 우주 기반 데이터 서비스: 미군·NASA 대상 데이터 분석 계약 확대 중

    📈 기술 및 재무 현황

    • Electron 최대 탑재중량: 300kg / 발사비용 약 750만 달러
    • Neutron: 2025~2026년 상업 발사 목표
    • 2024년 연매출: 약 2.2억 달러 / YoY +34%
    • 순손실 지속, R&D 투자 증가에 따른 EBITDA 적자 유지

    2024년 12월 기준 누적 42회 Electron 발사 중 38회 성공. NASA와 1.45억 달러 규모의 계약 수주, Neutron 엔진 'Archimedes' 지상 시험 성공.

    ▲ 로켓랩의 위성 플랫폼 Photon 기술 구성도 (출처: Rocket Lab 공식 발표자료)
    ▲ 로켓랩의 위성 플랫폼 Photon (출처: Rocket Lab 공식 발표자료)

     

    ▲ 로켓랩의 위성 플랫폼 Photon 기술 구성도 (출처: Rocket Lab 공식 발표자료)

    ⚠️ 리스크 요인 및 경쟁 분석

    • 기술 한계: Electron의 페이로드 한계 → 대형 수주 어려움
    • 경쟁: SpaceX, Relativity Space, Firefly 등과 경쟁 심화
    • 재무 구조: 잦은 유상증자, 희석 우려
    • 지정학적 요소: 미국-뉴질랜드 간 방산 규제 충돌 가능성

    🔭 중장기 전략 및 전망

    • Neutron 개발 → 중형 발사 시장 진출
    • Photon 기반 위성 → 정부 및 국방 데이터 사업 확장
    • '우주 제조업체'에서 '우주 플랫폼 기업'으로의 전환 목표

    📌 결론 및 투자 의견

    항목 내용
    현재 주가 약 21.88달러 (2025년 4월 25일 기준)
    목표 주가 25.5달러 (Neutron 상용화 시)
    투자 의견 하이리스크-하이리턴. 기술주 포트폴리오 보완용으로 적합

    🧩 함께 보면 좋은 글

     

     

    🏷 해시태그

    #로켓랩 #RocketLab #RKLB #Electron #Neutron #위성산업 #우주투자 #항공우주주 #미국주식 #미백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