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DB형과 DC형 퇴직연금 중 어떤 걸 선택할지 고민하는 미백남
    DB와 DC 중에 어떤 걸 선택해야할까요?

     

     




     

     

     

     



    [지난 이야기 다시 보기]
    👉 미백남 투자일기 #1 – 부업으로 월 100만 원씩 투자한 미국 주식 포트폴리오 전격 공개

     

    미백남 투자일기#1 (부업으로 월100만원씩 투자한 미국 주식 포트폴리오 전격 공개)

    신청 안하면 못 받는 PT 지원금지금 신청하기 안녕하세요 미국주식에 월 100만원씩 투자하는 미백남입니다 저는 24년 하반기부터 매달 부업으로 생긴 여유 자금 100만 원을 미국 주식에 투자하고

    pianochico-story.com

     

     

    오늘은 모든 직장인이 고민하고 있을 퇴직연금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퇴직 연금에 DB/DC 두 가지 유형이 있는 것은 알고 있으실텐데 정확히 어떤 차이가 있으며 여러분께 적합한 유형이 무엇인지 아는 분들은 많지 않습니다. 

    1. DB형과 DC형 퇴직연금, 어떻게 다를까요?



     

     

     

     

     

     

    NH투자증권에서 정리한 DB형과 DC형의 차이점 비교표
    DB형 vs DC형 비교 (출처 : NH투자증권 100세시대연구소)

     

    1) DB 

    DB는 한마디로 회사가 내 퇴직금을 대신 투자해주는 것입니다.

    퇴직금 운용을 회사가 하며  내가 받아야할 퇴직금 대비 수익이 나거나 손실이 나면 모두 회사가 그 이익과 손실을 가져갑니다. 개인은 특별히 고민할 일 없이 회사일만 열심히 하면 됩니다.

    DB로 퇴직연금을 운용하는 것이 유리한 사람은 입사한지 얼마 되지 않은 저연차 인원, 향후 승진에 따라 연봉 상승이 예상되는 사람, 투자 수익을 내는 것이 자신없거나 두려운 사람입니다.

    2) DC

    DC는 내가 스스로 내 퇴직금을 운용하는 형태입니다.

    회사에서 발생한 퇴직금을 내 계좌에 입금받아 본인의 성향에 맞게 투자하는 것입니다. 

    당연히 투자의 수익 / 손실에 따라 내가 퇴직시 받을 퇴직금이 달라지게 됩니다.

    DC는 더 이상 승진이 없어 연봉 상승이 제한적이며 투자 운용에 따라 수익을 낼 수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입니다.

    Tip) 한가지 추가하자면 이직을 하게되는 경우 DB보단 DC가 유리합니다. DB는 근속연수에 따라 퇴직금이 지급되므로
           이직시 본인의 근속연수가 0에서부터 다시 시작하게 되어 퇴직금 계산시 손해가 있습니다

     

     

    2. 나에게 맞는 퇴직연금 유형은?

     

    DB형과 DC형의 갈림길에서 선택을 고민하는 미백남
    DB와 DC에 각각 적합한 투자자는??

     

    저는 이전 글에서 밝혔듯이 최근에 DC로 전환했습니다.


    퇴직연금도 ‘투자’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 매달 부업으로 모은 자금을 주식에 투자하고 있고

    • 임원이 되지 않는 한, 추가 진급은 없어 DB로 유지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불리하며

    • 미래의 연금 자산 또한 직접 운용해서 더 키우고 싶은 마음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저는 DB 대신 DC형 퇴직연금을 선택했고, 그 계좌에 다양한 자산을 구성하고 있습니다.


    4. 현재 제 DC형 계좌의 투자 현황

    종목 수량 단가 금액 구분 비중
    Tiger 미국30년국채스트립액티브 59 39,365 2,322,550 안정 11%
    SOL 미국AI소프트웨어 191 12,222 2,334,455 공격 11%
    Tiger 미국나스닥100TR(H) 18 124,937 2,248,870 공격 11%
    Tiger 미국S&P500TR(H) 103 12,985 1,337,455 공격 6%
    미래에셋전략배분TDF2035혼합자산투자신탁종류C-P2e 1 2,350,000 2,350,000 안정 11%
    현금     10,698,266 안정 50%
    Total     21,291,596    

     

    위와 같이 저는 현금을 제외한 5개 종목에 투자를 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이 종목안에서 투자를 할 생각입니다.

    만약 위의 종목보다 더 괜찮은 종목을 발견한다면 그 종목을 매수하는 대신 가장 좋지 않은 한개를 전부 매도하여 종목 수는 5개를 넘기지 않으려고 합니다.


    • 국내 ETF 4종 각 200만 원
    • 미래에셋 TDF 2035 – 200만 원
      (TDF 가 무엇인지 모르는 분들이 있으실텐데, 제가 왜 TDF를 선택했는지는 별도의 포스팅으로 자세히 다루겠습니다)
    • 현금 1,000만 원은 유동성 확보

    총 2,000만 원 중 1,000만 원은 운용 중이며, 잔여 자금은 트럼프의 상호관세 유예시점인 4/2일에서 90일이 지난 시점 즈음의 주가 흐름을 확인해보고 바닥이 어딘지 확인이 되면 진입할 생각입니다.

     

     

     





    5. DC 계좌 투자 시 주의할 점 –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

     

    관세를 무기로 중국과 전쟁중인 트럼프
    관세를 무기로 중국과 전쟁중인 트럼프



    2024년 미국 대선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재선에 성공하면서, 그의 관세 정책이 다시 주목받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에 대해 높은 관세를 부과할 계획을 밝혔으며, 이는 글로벌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관세 정책은 글로벌 주식시장에 큰 충격을 줄 수 있는 변수입니다.
    • 특히 ETF 및 TDF 등 글로벌 자산이 포함된 상품은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습니다.
    • 장기 투자라고 하더라도 정치/경제 이슈에 따른 리밸런싱 시점은 꼭 체크하셔야 합니다.


     

    다음에는 트럼프의 관세 정책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