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 AI, 2025년 투자 시장의 절대 중심
인공지능(AI)은 더 이상 미래의 기술이 아닙니다.
2025년 현재, AI는 우리가 주식 시장을 바라보는 시각 자체를 바꾸고 있습니다.
자율주행부터 정부기관의 데이터 분석, AI 반도체, 생성형 모델까지 —
AI는 산업 전체를 뒤흔드는 전방위적 기술로 자리 잡았고, 이 중심에는 팔란티어(PLTR)와 엔비디아(NVDA)가 존재합니다.
이 두 종목은 서로 전혀 다른 길을 걷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AI 시대를 이끄는 양대 축으로 개인 투자자들의 최대 관심 종목으로 부상했습니다.
오늘은 이 두 종목을 기술·재무·주가·전략적 측면에서 철저히 비교해보며,
2025년 이후 누가 진짜 승자인가?를 분석합니다.
🧠 엔비디아는 AI 인프라의 제왕
▶ AI의 엔진, GPU
엔비디아는 AI 연산의 핵심인 GPU(그래픽처리장치)를 생산하는 기업으로,
AI 모델이 학습과 추론을 하는 데 필요한 연산량을 담당합니다.
GPT 시리즈, 메타의 LLaMA, 구글의 Gemini 등
모든 생성형 AI 모델은 대부분 엔비디아의 H100, A100, B100 GPU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 데이터센터 매출 폭발
2024년 4분기 기준, 엔비디아의 데이터센터 부문 매출은 전년 대비 409% 증가했습니다.
이는 전체 매출의 78%에 해당하며, 사실상 엔비디아는 AI 반도체 회사로 완전히 전환되었습니다.
- 2025년 1분기 예상 매출: 247억 달러
- 예상 순이익: 114억 달러
- 주가수익비율(PER): 약 39배 (미래 성장 고려 시 저평가로 보기도 함)
🧠 팔란티어는 AI 운영체계(OS)의 선두주자
▶ AIP의 급성장
팔란티어는 자체 플랫폼인 AIP(AI Platform)를 통해
AI 모델의 실질적 활용을 가능케 합니다.
즉, 엔비디아가 ‘뇌’를 만든다면, 팔란티어는 ‘지능의 실행체계’를 구성합니다.
군사 분야: 미 국방부, 우크라이나, 리투아니아 등과 계약
민간 분야: 보험, 병원, 제조, 물류 등 다양한 산업에 도입
AIP 세션 수: 2024년 대비 400% 증가
▶ 미국 정부 의존도 완화
과거 팔란티어는 매출의 60% 이상을 미국 정부에 의존했지만,
2025년 기준 민간 매출이 전체의 55%를 넘어섰습니다.
이는 ‘수익의 다각화’가 성공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 주가 비교: 2023~2025년 YTD 성과
종목 | 23년 수익률 | 24년 수익률 | 25년 수익률 (5월 기준 YTD) |
엔비디아(NVDA) | +239% | +246% | +34% |
팔란티어(PLTR) | +167% | +121% | +85% |
▶ 최근 동향
- 엔비디아: 실적 발표 앞두고 횡보세, 일부 조정 중
- 팔란티어: 리투아니아 및 유럽 정부 계약 확대로 급등세 지속
- 투자 수급: 엔비디아는 기관 중심, 팔란티어는 개인+기관 혼합
🔍 기술적 분석 요약
▶ 엔비디아 (NVDA)
- 현재가: $132.48
- 저항선: $140
- 지지선: $125
- RSI: 61 (중립, 상승 여력 존재)
- MACD: 상승 전환 초기 신호
▶ 팔란티어 (PLTR)
- 현재가: $132.84
- 저항선: $140, $148
- 지지선: $124
- RSI: 72 (과열 경고)
- MACD: 상승세 확산
🧮 기업 재무지표 비교 (2025 Q1 기준 예상)
항목 | 엔비디아 | 팔란티어 |
매출 | $247억 | $7.9억 |
영업이익률 | 48% | 29% |
순이익 | $114억 | $2.4억 |
현금보유액 | $250억 이상 | $35억 이상 |
부채비율 | 18% | 3% |
PER | 39배 | 55배 |
※ 고성장 기업인 만큼 PER 수치보다 수익 성장률과 잉여현금흐름(FCF)이 핵심.
🧭 투자자 관점 전략
▶ 단기 수익률 우선? → 팔란티어
- 모멘텀이 강력하며, 뉴스에 즉각 반응
- 변동성이 크지만 수익 기회도 큼
- 고점 추격보다 눌림 매수 전략 권장
▶ 장기 성장성과 안정성? → 엔비디아
- 글로벌 AI 수요가 지속되는 한 독점적 지위 유지
- 펀더멘털이 강력, 실적 성장률이 밸류에이션을 뒷받침
- 장기보유, 정액분할 매수 적합
💡 결론: 둘 다 사는 게 답일 수도
AI 산업은 아직 초기 단계이며,
‘칩(엔비디아)’과 ‘운영체계(팔란티어)’는 결코 대체재가 아닙니다.
오히려 서로가 서로의 성장을 가속화하는 보완재입니다.
장기적 관점에서는 두 종목 모두 성장 산업의 핵심 플레이어로 자리잡고 있으며,
자금 여력이 있다면 비중 조절을 통한 분산 투자가 가장 현명한 전략입니다.
📎 함께 보면 좋은 글
《미백남 투자일기 19화 – CPI가 꺾였다, 지금이 기술주 매수 타이밍일까?》
《미백남 투자일기 – CPI가 꺾이자마자, 나는 기술주를 다시 담기 시작했다》2025년 5월 13일, 미국 노동부가 발표한 4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월 대비 0.1%, 전년 대비 3.3% 상승으로 집계됐다.
pianochico-story.com
《미백남 투자일기 18화 – 매일 5천 원씩 팔란티어에 투자했다면? 현실은 충격 그 자체》
2025년 3월 14일부터 5월 13일까지 매일 5,000원씩 팔란티어(PLTR)에 투자했다면 어떤 결과가 나왔을까요?단순한 투자 실험 같지만, 이 속에는 장기투자, 분할매수, 환율, 변동성이라는 복잡한 현실이
pianochico-story.com
미백남 투자일기 17화 – 테슬라 주가 급등 사유: 일론 머스크의 귀환과 로보택시 기대
2025년 5월, 테슬라 주가는 다시 한 번 폭발적인 상승세를 보이며 장중 300달러를 돌파했습니다. 단기적인 이벤트가 아니라 기대 심리와 실적, 그리고 CEO 리더십 복귀라는 세 가지 요인이 맞물린
pianochico-story.com
'미국 주식 & 연금 투자 > 미백남투자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백남 투자일기 22화 – IONQ, 양자컴퓨터의 진짜 수익화 시점은 언제일까?》 (5) | 2025.05.19 |
---|---|
《미백남 투자일기 21화 – PPI가 꺾였다, 진짜 금리 인하 오는 건가요?》 (4) | 2025.05.17 |
《미백남 투자일기 19화 – CPI가 꺾였다, 지금이 기술주 매수 타이밍일까?》 (0) | 2025.05.15 |
《미백남 투자일기 18화 – 매일 5천 원씩 팔란티어에 투자했다면? 현실은 충격 그 자체》 (0) | 2025.05.14 |
미백남 투자일기 17화 – 테슬라 주가 급등 사유: 일론 머스크의 귀환과 로보택시 기대 (4) | 2025.05.13 |